본문 바로가기

피부 개념정리

[피부국가자격증 개념정리 14탄] 피부장애와 질환(02.피부질환)

피부질환에 대해 알아보자!

온도 및 열에 의한 피부 질환

화상

화상(Burn)

  • 열, 전기 방사능, 화학물질, 뜨거운 물이나 액체, 전기 등에 의해 발생
  • 세포 단백질을 변화시켜 세포 파괴
  • 1도 화상 : 홍반성 화상, 2도 화상 : 수포성 화상, 3도 화상 : 괴사성 화상

한진(Miliaria)

  • 한관이 폐쇄되어 땀 배출이 안되고 축적되어 발생
  • 습한 여름에 주로 발생
  • 땀샘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곳(이마, 머리 주변, 가슴, 목, 어깨)에 발생

동상

동상(Frostbite)

  • 한랭에 피부 노출되어 혈관기능 침해, 세포 질식상태에 빠진 현상
  • 귀, 코, 뺨, 손가락, 발가락 등에 잘 발생

기계적 손상에 의한 피부 질환

굳은살

굳은살(Hardened Skin)

  • 압력에 의해서 발생, 국소적인 과각화증
  • 압력이 제거되면 자연적 소실

티눈

티눈(Corn)

  • 압력에 의해 발생, 각질층의 증식 현상
  • 중심핵 있으며 통증 동반

욕창

욕창(Decubitus Ulcer)

  • 지속적인 압력 받는 부위가 허혈 상태되어 발생하는 궤양
  • 자주 몸 위치 바꾸어 주며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게 한다.
  • 세균, 진균의 2차적 감염 유의

습진(Eczema)에 의한 질환

접촉 피부염

접촉 피부염(Contact Dermatitis)

원발형 접촉피부염(Primary Contact Dermatitis)

자극성 피부염

  • 원인물질이 직접 피부에 독성 일으켜 발생
  • 1~2시간 내 급성으로 홍반, 구진, 소수포, 소양증, 부종 등이 동반

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

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(Allergic Contact Dermatitis)

  • 특수 물질에 감자된 특정인에게 발생하는 질환
  • 소양증, 구진, 반점 등의 피부 증상 발생
  • 염색약, 화장품, 옻나무, 옻닭, 니켈 등에 노출된 경우 발생

광독성 접촉피부염(Photoxic Contact Dermatitis)

  • 일정 농도 이상의 물질과 접촉하고 광선에 노출된 경우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피부염
  • 광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(Photoallergic Contact Dermatitis)
  • 광선에 노출된 경우 특정 물질에 감작된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피부염

아토피 피부염

아토피 피부염(Atopic Dermatitis)

  • 만성 습진의 일종,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약화됨
  • 피부 건조, 예민, 바이러스, 세균 감염 잘 됨.
  • 발병기전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적 경향, 알레르기설, 면역 학설, 환경요인설 등 있음

지루 피부염

지루 피부염(Seborrheic Dermatitis)

  • 피지의 과다한 분비에 의한 피부염, 홍반 동반하는 인설성 질환
  • 두피, 안면, 앞가슴, 등, 배꼽, 귀, 겨드랑이, 사타구니 등 발생
  • 발병기전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적 경향, 알레르기설, 면역 학설, 환경요인설 등 있음.

신경 피부염(Neurodermatitis)

  • 만성 단순 태선(Lichen Simplex Chronicus)라 불림
  • 소양감에 의해 피부를 만성적으로 긁어 발생함.

화폐상 습진

화폐상 습진(Nummular Eczema)

  • 동전 모양의 아급성, 만성 피부염
  • 팔다리의 신측부 등 건조하기 쉬운 부위, 젊은 여성들에게 자주 발생
  • 가려움증 억제하고 보습효과 주는게 중요.

건성 습진(Xerotic Eczema)

  • 겨울철 소양증, 노인성 습진으로 불림.
  • 건조한 경우 발생.

감염성 피부질환

세균성 피부질환(Bacterial Skin Diseases)

농가진

농가진(Impetigo)

  • 주로 유아,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
  • 화농성 연쇄상구균이 주 원인균, 전염력이 높아 쉽게 전염됨.
  • 두피, 안면, 팔, 다리 등에 수포 발생, 진물 나며 노란색 띠는 가피 보임.

절종(종기)

절종(Furuncle, 종기)

  • 황색 포도상구균이 모낭에 침입해서 발생하는 질환
  • 모낭과 그 주변조직에 걸쳐 괴사 발생
  • 두 개 이상의 절종이 합쳐져 더 크고 깊게 염증 발생 시 옹종으로 발전.

봉소염(Cellulites)

  • 용혈성 연쇄구균이 피하조직에 침투하여 발생
  • 초기 작은 부위에 홍반, 소수포로 시작되어 점차로 큰판 형성
  • 임파절 종대, 전신적인 발열이 동반됨.

 

바이러스성 피부질환(Virus Skin Disease)

수두

수두(Chickenpox)

  • 주로 소아에게 발생, 전염력 매우 강함.
  • 피부 및 점막의 수포성 질환, 발진 발생 1일전부터 6일 후까지 호흡기 계통을 통해 전염.
  • 가피형성 후 흉터없이 치유됨.
  •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이나 소파로 흉터가 생길 수 있기에 유의.

대상포진

대상포진(Herpes Zoster)

  • 수두 앓은 후 지각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수두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에 의해 발생
  • 지각 신경 분포를 따라 띠 모양으로 피부발진 발생
  •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휴식과 안정 필요.

사마귀

사마귀(Wart)

  • 파필로마(Papilloma)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
  • 어느 부위에나 쉽게 발생 가능, 타인에게 감염 가능.
  • 전염성 강하고 자신의 신체부위에도 다발적 감염 가능.

전염성 연속종(Mollusum Contagiosum)

  • 무사마귀라 불림, Pox바이러스에 의해 발생.
  • 아토피 피부염 가진 소아에게서 흔히 발견.
  • 전염성 강하고 재발 가능성 높음.

홍역

홍역(Measles)

  • 전염성 매우 높고 주로 소아에게 발병.
  • 발열, 발진이 주 증상으로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.
  • 재채기나 기침에 의해 전염, 호흡기계 감염, 갈막염 등 발생 가능성 있음.

진균성 피부질환

족부백선(무좀)

족부백선(Tinea Pedis)

  • 무좀이라 불림
  •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팜이균에 의해 발생

조갑백선(발톱무좀)

조갑백선(Tinea Unguium)

  • 손톱과 발톱 무좀,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.
  • 항진균제 바르거나 복용해 치료함.

두부백선

두부백선(Trichophytia Superficialis Capillitii)

  • 두피 모낭과 그 주위 피부에 피부사상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백선증.
  • 두피에 다양한 크기의 회색이나 붉은색의 인설 발생, 염증 심하면 부분적인 탈모 발생.

칸디다증(모닐리아증)

칸디다증(Candidiasis, 모닐리아증)

  • 진균의 일종인 칸디다 알비칸스균(Candida Albicans)에 의해 발생.
  • 피부, 점막, 손, 발톱에 표재성 진균증 발생.
  • 가렵고 붉은 반점이 생기며 염증 심해짐.

모발 질환

원형탈모

원형 탈모증(Alopecia Areata)

  • 다양한 크기의 원형 혹은 타원형의 탈모반.
  • 정신적 스트레스나 자가면역 이상, 국소 감염, 내분비장애 등이 원인.

남성형 탈모증(안드로겐탈모증)

남성형 탈모증(Male Pattern Alopecia, 안드로겐 탈모증)

  • 모발 성장 억제하는 남성호르몬이 증가, 유전적인 요인을 자극할 때 발생.
  • 유전적 요인, 연령,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과의 복잡한 상호 관계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.

색소성 피부질환

저색소 침착 질환(Hypoigmentation)

백색증(알비노)

백색증(Albinism)

  • 선천적 멜라닌 색소 결핍 질환.
  • 멜라닌 세포의 수는 정상이나 색깔 없는 멜라닌 생성.
  • 전신, 눈, 피부의 일부, 모발 탈색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.

백반증

백반증(Vitiligo)

  • 후천적 저색소 침착 질환.
  • 멜라닌 세포의 결핍으로 인해 여러 크기 및 형태의 백색반들이 피부에 나타나는 것.
  • 과색소 침착 질환(Hyperpigmentation)

기미

기미(Melasma, Chloasma, 간반)

  • 후천적 과색소 침착증
  • 연한 갈색, 흑갈색, 암갈색의 다양한 크기와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남.
  • 얼굴 뺨, 이마, 윗입술, 턱, 코, 목 부위, 일광 노출 부위에 좌우 대칭적 발생.

주근깨

주근깨(Freckle)

  • 선천적 과색소 침착증
  • 일광 노출 부위에 다갈색, 암갈색의 형태로 멜라닌 색소 침착되어 나타남.
  • 유전적 요인에 의해 소아기에 발생, 나이 들어감에 따라 감소.

흑자(흑색점)

흑자(Lentigo, 흑색점)

  • 표피의 멜라닌 세포 증가에 의한 색소반.
  • 단순성 흑자, 노인성 흑자, 악성 흑자의 종류가 있음.

오타모반(Ota Nervus)

  • 청갈색, 청회색의 얼룩진 색소반, 이마, 눈 주위, 광대뼈 부분에 나타나는 피부 질환.
  • 멜라닌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으로 진피 내 존재.

몽고반

  • 다양한 크기의 청회색 반이 엉덩이 부위에 출생 시부터 존재.
  • 멜라닌 세포가 진피 내 존재, 수년 내에 보통 자연소실됨.

악성 흑색종

 

악성 흑색종

  • 일광 노출 부위, 기타 부위에 멜라닌 색소가 악성으로 변형되어 생기는 질환.
  • 색소 변하고 갑자기 커지고 불규칙해지거나 진물 나오며 궤양 형성.

안검 주위의 질환

비립종

비립종(Miliums)

  • 지방조직의 신진대사 저하로 인해 표면에 발생한 작은 낭종.
  • 황백색의 낭포로 눈가, 뺨, 이마 등에 발생.

한관종(Syringoma)

  • 조직학적으로 에크린 한 관에 유래한 작은 구진으로 내용물이 없음.
  • 다발성으로 병변 깊어 레이저, 전기 소각, 화학적 소각 등으로 제거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