피부 개념정리

[피부국가자격증 개념정리 13탄] 피부장애와 질환(01.원발진과 속발진)

테라피스트 화니 2022. 11. 7. 23:38

원발진과 속발진에 대해 알아보자~!

원발진과 속발진

  • 인체 내적 또는 외적 원인(외상, 손상, 질병)에 의해 유발된 일반적인 피부병변을 발진이라 함.
  • 발진 타입 : 원발진(Primary Lesions)과 속발진(Secondary Lesions)

(1) 원발진(Primary Lesions)

  • 피부질환의 초기 병변
  • 1차적 피부장애 증상

종류

반점(Macule)

  • 피부의 융기나 함몰이 없음.
  • 여러 형태와 크기로 피부색조 변화
  • 주근깨, 기미, 자반, 노화 반점, 오타씨모반, 백반, 몽고반점 등

홍반(Erythema)

  • 모세혈관의 울혈에 의한 피부발적 상태
  •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크기 변화

구진(Papule)

  • 직경 1cm 미만의 피부의 단단한 융기물이며 주위 피부도다 붉다.
  • 표피에 형성되어 흔적 없이 치유
  • 여드름의 초기 증상

농포(Pustules)

  • 표피 내 또는 표피 하의 가시적인 고름의 집합(주로 모낭 내 또는 한선 내 형성)
  • 진피, 피하조직에 나타나는 농양과 구별

팽진(Wheals)

  • 두드러기, 담마진이라 함
  • 표재성의 일시적 부종, 붉거나 창백함.
  • 크기나 형태가 변하고 수시간 내 소실

소수포(Vesicles)

  • 직경 1cm 미만의 액체(혈청, 림프액) 포함한 물질
  • 화상, 포진, 접촉성 피부염 등에서 확인 가능
  • 크기나 형태가 변하고 수시간 내 소실

대수포(Bulla)

  • 직경 1cm 이상의 소수포보다 큰 병변
  • 혈액성 내용물 가지고 있음.

결절(Nodule)

  • 구진과 종양 사이의 중간 형태
  • 경계가 명확,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단한 융기물
  • 구진과는 달리 표피뿐 아니라 진피, 피하지방까지 침범

낭종(Cyst)

  • 진피에 위치, 통증이 동반
  • 여드름 피부의 4단계에서 생성되는 것, 치료 후 흉터가 남음

종양(Tumor)

  • 직경 2cm 이상의 피부 증식물
  • 여러 가지 모양과 크기, 양성과 악성이 존재.

(2) 속발진

  • 원발진이 진행하거나 회복, 외상 및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된 상태의 병변
  • 2차적인 증상이 더해져 나타나는 병변

종류

인설(Scale)

  • 사멸한 표피세포가 피부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.
  • 정상적 각화 과정의 이상으로 인한 각질층의 국소적인 증가가 원인
  • 각질세포가 가루 모양 또는 비듬 모양의 덩어리로 떨어져 나감

찰상(Excoriation, Scratch Mark)

  • 기계적 자극, 특히 소양증 등에 의해 긁어서 일어나는 표피의 결손
  • 표피의 일부에 상처가 난 것, 흉터 없이 치유된다.

가피(Crust)

  • 병적 기전에 의해 야기된 삼출액이 마른 것, 딱지 뜻함.
  • 혈청, 농, 혈액 및 표피 부스러기 등이 피부 표면에 건조된 덩어리

미란(Erosion)

  • 표피만 파괴되어 떨어져 나간 피부 손실 상태
  • 표면은 습윤한 선홍색, 출혈 없고 흔적 없이 치유.

균열(Fissure, Crack)

  • 질병이나 외상에 의해 표피 선상으로 갈라진 상태
  • 건조하고 습한 상태서 발생, 출혈과 통증 동반
  • 구순염 또는 무좀

궤양(Ulcer)

  • 염증성 괴사에 의해 표피, 진피, 피하지방에 결손 생긴 상태
  • 치유 후 반흔 남음

반흔(Scar)

  • 흉터를 뜻함
  • 피부 손상이나 질병에 의해 진피와 심부에 생긴 조직 결손이 새로운 결체조직으로 대치된 상태.
  • 정상 치유 과정의 하나, '켈로이드'가 대표적

위축(Atrophia)

  • 피부의 기능 저하에 의해 피부 얇게 되는 상태
  • 피부 탄력 잃어 주름 생기고 혈관 투시

태선화(Lichenification)

  • 표피 전체와 진피의 일부가 가죽처럼 두꺼워지며 딱딱해지는 현상
  • 만성 소양성 질환에서 흔히 보임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