피부 개념정리

[피부국가자격증 개념정리 16탄] 피부면역

테라피스트 화니 2022. 11. 10. 23:59

피부면역에 대해 알아보자

면역의 종류와 작용

면역 정의

  • 외부에서 들어온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을 신체 일부 아니라 여기기 때문에 이를 공격, 제거하는 생체 방어 기능.

면역 종류

기침, 재채기 또한 자연 면역 중 한가지이다.

자연 면역

  • 신체적 방어벽 : 피부(인체 내부 보호하기 위한 기능), 호흡기(기침, 재채기를 동한 세균 분사)
  • 화학적 방어벽 : 입, 코, 목구멍, 위의 산성 내부 점액질
  • 획득 면역 : 기억장치, 예방접종

식균작용과 염증반응

  • 1차 : 혈액의 백혈구
  • 2차 : 림프절, 몽우리 발생, 2차 거치면 90% 이상 세균 사멸.

면역계 구분

구분 방어 인자
1차 방어(자연저항, 비특이성 저항) 피부, 위장관, 위산, 질 안의 정상 세균층
2차 방어(비특이성 저항) 식세포로 구성된 면역계
3차 방어(특이적 저항, 특이성 면역) 림프구로 구성된 면역계

면역 작용

식균 작용 또한 면역 반응 중 한가지이다.

면역 반응

  • 식세포 면역 반응 : 백혈구 이물질 식균작용
  • 체액성 면역 반응 : B림프구 - 특이항체 생산
  • 세포성 면역 반응 : T림프구 - 항원에 대한 정보 림프절로 전달, 림포카인 방출(항원 제거)

피부 면역 작용

  • 피부의 층 구조
  • 피부 산성막
  • 피부 각질 박리
  • 랑게르한스 세포의 면역 유발
  • 피부 표면의 건조로 미생물 안착 용이

면역 용어

  • 식세포 : 이물질이나 다른 이물질 잡아먹는 세포 총칭
  • 식균작용 세포 : 중성구, 마이크로파지
  • 면역기관 : 골수, 흉선, 림프절, 비장
  • 림포카인 : 항원에 접촉, 감작된 림프구에 의해 방출되는 단백질 전달물질
  • 보체 : 약 20종의 혈청 단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방어 인자, 항체와 긴밀한 작용.

림프구

  • T림프구(세포성 면역) : 혈액 내 림프구의 9% 차지, 정상 피부에 존재하는 대부분이 T림프구.
  • B림프구(체액성 면역) : 면역 글로불린이라는 단백질 분비, 면역학적 역할 수행.